질문과 답변
자주하는 질문
차열페인트에 대해 많이 하시는 질문들을 확인해보세요!
Quality. 제품 & 시공 품질
알듯 모를 듯 혼동하기 쉬운,
현명한 제품 선별 방법과 올바른 시공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
요즘 SNS나 TV방송 등을 통해 셀프 인테리어, 내 집 꾸미기에 대한 정보가 많이 공유되면서
D.I.Y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습니다.
남들이 올린 동영상을 보다 보면 왠지 엄청 쉽게 느껴지면서 나도 얼마든지 할 수 있을거라는 생각을 들게 하죠.
맞아요. 방법만 알면 누구나 셀프 인테리어 충분히 할 수 있어요.
그런데 직접 해보려고 하면 귀찮기도 하고, 필요한 준비물들을 일일이 구매하려고 하니 막막하실 겁니다.
특히 내 집 꾸미기에서 가장 큰 요소를 차지하는 페인트 칠은 감히 엄두가 안나죠. 그렇지만 걱정 마세요.
내 손으로 직접 가꾸는 셀프 인테리어의 핵심 인 페인트칠!!
그 페인트를 쉽게 칠하는 요령을 저희 어드그린코트가 알려드리겠습니다.
시공전 준비물
유성페인트와 수성페인트 모두 시공 방법은 동일하기 때문에 재료의 구성 또한 거의 동일합니다.
다만 다른점이라면 용제형(유성)페인트는 희석제로 신나를 추가로 준비해야 하며,
로울러나 붓 등 도장도구가 유성과 수성으로 판매되고 있으니 이 점 미리 확인하고 준비해주세요.
그럼 이제 페인트 칠을 위해 미리 챙겨야 하는 준비물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페인트 - 필수
앞서 말씀드린대로 용제형(유성)이냐, 수성이냐에 따라 제품의 구성(용제형은 주제+경화제)이
맞게 준비됐는지 확인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또, 사용 목적에 따라 하도, 중도, 상도재가 모두 준비되었는지 확인하기 바랍니다.
자칫 제대로 준비 하지 않아 나중에 금방 벗겨져 보기 흉하게 된 것을 보다보면 매우 속상하실테니 말이죠.
2)희석제 - 필수
주로 희석제는 페인트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용제형은 주로 신나를 쓰고 수용성은 물을 희석제로 사용하며,
사용하기 뻑뻑할 정도로 점도가 질어진 페인트에 이 희석제를 섞어 주셔야 칠 바름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수용성제품을 구매하셨다면 물(일반 수돗물)과 적절한 비율로 섞어 사용하시면 됩니다.
용제형(유성)제품이라면 희석제인 신나를 별도로 구매하셔서 5:1정도 비율로 섞어 사용하면 됩니다.
신나는 휘발성이 강한 위험물이므로 항상 취급에 주의해야 합니다.
신나는 페인트 대리점에서 구매가 가능하며, 제품마다 신나의 비율과 종류가 다르므로
반드시 시공 전에 제품 주의사항을 잘 확인 후 구입하시길 바랍니다.
3)칠도구 - 필수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칠 도구는 붓, 로울러, 스프레이 세가지로 나뉩니다.
①스프레이
만약 컴프레셔가 있다면 넓은 면적에 빠르게 칠할 수 있는 스프레이가 좋습니다.
그러나 일반 가정집에서 컴프레셔나 전문 도장장비를 구비한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붓과 롤러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공구나 도구를 빌려주는 곳도 있으니 알아보시면 좋을 듯 하네요.
② 붓
보통 실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붓은 작은 면적이나 세밀한 작업을 하기에 좋습니다.
페인트를 칠하는 도장 면이나 용도에 따라 솔의 너비와 두께가 다양하게 구분되어 판매되고 있습니다.
③로울러
페인트 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로울러 역시 너비와 페인트의 종류에 따라
유성용, 수성용 그리고 수성/유성 겸용으로 나뉘어 판매되고 있습니다.
로울러의 특징별로 살펴보면
건축용은 대부분 수성 페인트이므로 집에 칠할 때는 수성용 로울러를 준비하면 되지만,
다용도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유/수성 겸용으로 준비해도 괜찮습니다.
로울러는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너비 또한 다양한데요.
4인치 : 다용도실, 세탁실 등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 4~5kg의 소용량 페인트 용기에 넣어 사용하기 편합니다.
7~10인치 : 거실이나 외벽, 지붕 등 넓은 면적을 칠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④로울러 막대
벽면이나 천정, 바닥 등 넓은 면적에 칠하고자 할 경우에는 로울러에 막대를 끼워 사용하는 것을 강력 추천합니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로울러 막대의 형태는 특별히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로울러 구멍에 끼울 수 있는 굵기의 빗자루나 대걸레 자루 정도가 사이즈에 잘 맞으며,
전용 롤러 막대도 크게 비싸지 않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으니 편한 방법으로 골라보셔요.
4)보양재(비닐,테이프) - 선택
보통 페인트 시공 작업 시작 전 작업 부위 외에 페인트가 묻어나지 않도록
주변에 보호처리를 하는 것을 보양작업이라고 합니다.
보양재는 페인트 시공 작업에 있어 반드시 필수적인 재료는 아니지만
깔끔하고 쉽게 작업하시고자 한다면 꼭 필요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보양작업은 비닐이나 테이프를 사용하게 되는데 전용 보양재를 사용한다면,
복잡한 보양작업을 빠르고 쉽게 마무리 할 수 있습니다.
보양재 역시 페인트 대리점이나 부자재를 판매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5)트레이 - 선택
트레이는 붓이나 로울러에 묻힐 페인트의 양조절을 도와주며, 쓰고 싶은 만큼만 덜어내기 좋게 용기 형태로 된 부자재입니다.
버리는 바스켓 혹은 붓이나 로울러의 너비에 맞는 통에 페인트를 덜어서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트레이 역시 페인트를 칠하는데 있어 꼭 필요한 부자재는 아니지만,
본제품의 용기에 바로 붓이나 로울러를 사용하는 것보다 어딘가에 덜어 쓰는 것이 시공 작업 후
남은 페인트 처리에도 용이하기 때문에 트레이 사용을 추천합니다.
6)장갑 - 선택
장갑 역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소중한 내 손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준비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페인트가 묻으면 바로 흡수되는 목장갑보다 가급적 1회용 고무장갑을 구매하셔서 사용하시거나,
코팅이 되어 있는 방갑을 추천합니다.
7)교반막대 - 필수
교반막대는 오래 보관하여 침전되어 있는 페인트를 잘 섞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이 때 교반날개 또는 믹서날개라 하여 전동드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제품도 있으며,
시공 면적이 작아 소량이라면 일반적인 막대기를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다만 가라앉은 페인트의 안료가 전부 섞이려면 꽤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작업량에 따라 교반막대를 준비하는 것이 작업을 수월하게 하는 요령입니다.
8)퍼티 및 헤라 - 필수
퍼티는 페인트를 깔끔하게 칠하기 위해 도장 면의 틈새나 크랙 등을 메꿔주는 보충재를 말합니다.
페인트 칠을 전문 작업자에게 맡긴다면, 보통 퍼티를 포함한 바탕작업까지 해주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셀프 칠에서 퍼티 작업까지 챙기기란 굉장히 번거로워 퍼티 작업 없이 넘기기 쉽지만,
깔끔하게 정리된 좋은 결과물을 위해 퍼티작업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퍼티 역시 페인트의 성분에 따라 수성용, 우레탄용, 에폭시용 등 종류가 다양하게 있어,
사용하는 제품의 종류를 잘 구분해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균열, 틈새가 커서 퍼티로 마감이 어려울 때는 크랙씰이라는 탄성 보충재로 틈새를 깨끗이 메꿔줘야 합니다.
헤라는 뻑뻑한 퍼티를 표면에 펴바르기 편하도록 끌처럼 생긴 도구를 말합니다.
헤라도 반드시 필요치 않으므로 판단에 따라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퍼티작업을 하실 경우에는 아무래도 있는 것이 수월하겠지요.
헤라의 종류 역시 소재별, 용도별로 다양하게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플라스틱과 스틸 두 가지 종류입니다.
일반인들이 가볍고 쉽게 사용하기에는 부드럽고 탄성이 좋은 플라스틱 헤라가 편합니다.
스틸소재의 헤라는 퍼티작업 뿐만이 아니라 스틸 용기로 된 페인트를 오픈하기에도 수월하여
전문 작업자들은 스틸재질을 선호합니다.
지금까지 칠하기 전 필요한 준비물을 말씀드렸는데요.
보통 페인트 부자재들은 한번쓰고 버리는 1회용이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지 않으니,
수월한 칠을 위해서는 전부 준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재료 준비를 마쳤다면 시공절차는 매우 간단합니다.
1. 바탕정리(물 세척 및 퍼티작업)
페인트 칠 전, 보통 도장 면은 먼지나 오염물로 인해 더럽거나, 기존에 칠해진 페인트가 벗겨지고 일어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바로 페인트를 칠할 수 없는 상태의 도장면을 깨끗하게 정리하는 것을 바탕정리 혹은 바탕처리라고 합니다.
바탕정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 위에 바로 페인트칠을 한다면,
오염물이나 이미 박리된 기준 페인트에 의해 새로운 칠 도막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힘들게 한 페인트칠이 다 벗겨져 버리는 것이죠.
그런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간단하게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고압으로 물청소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우실 것 같습니다.
고압세척 후 남은 물기가 완전히 마른 후에 퍼티로 틈새를 메꿔주는 작업을 합니다.
물론 이 부분은 가볍게 지나칠 수도 있지만 그렇게 어려운 작업이 아니니 완벽한 페인트 칠을 위해 도전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2. 보양작업
보양 작업은 전문가들도 깔끔한 마감을 위해 간단하게나마 꼭 하는 작업입니다.
보양지를 사용하지 않고 신문지나 박스를 이용해도 되니 페인트 칠할 주변을 보호한 후 작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칠 준비(재료 세팅)
본격적인 페인트 칠 전 선택한 제품의 특성에 따라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페인트를 교반하거나, 유성페인트라면 페인트에 경화제를 섞고 희석제를 첨가해주는 작업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장갑, 붓이나 롤러, 막대, 트레이 등을 미리 준비하고,
교반이 필요한 경우 막대도 준비한다면 한층 빠른 작업준비가 가능합니다.
4. 하도작업
실내 페인트칠이라면 하도작업을 넘어가도 크게 문제가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실내작업이라 하더라도 기존 바탕면과 새로 칠하는 페인트의 재질이 이질되거나
실외 칠이라면 반드시 하도작업을 하는 것이 제품의 내구성과 부착성을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 때 하도재에 따라 별도로 표기된 기능상과 사용상에 따른 주의사항을 염두하고 그에 맞춰서 작업하면 됩니다.
하도재의 건조시간은 각 제품별로 표기되어 있지만 통상적으로 3~4시간 정도이며,
완전 건조에는 하루 정도 소요되니 참고하여 작업하시길 바랍니다.
5. 중도 및 상도작업
하도 작업을 잘 마쳤다면 충분히 건조 후 중도 및 상도 작업을 시작하면 됩니다.
중도재가 없는 경우 바로 상도작업에 들어가면 되는데요.
통상적으로 먼저 중도재를 1~2회 칠하시고, 충분히 건조 후에 상도재 역시 1~2회 칠하게 됩니다.
간혹 칠 횟수를 줄이기 위해 상도재를 1회만 칠하고 마무리하는 겨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비전문가가 롤러로 작업할 경우, 1회 칠로 바탕면이 완전히 은폐되지 않거나
한 번에 칠하기 위해 재료를 두껍게 칠해 재료가 건조되면서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비전문가가 셀프로 칠할때는 칠을 얇게 하여 2회에 걸쳐 칠한다면 깔끔한 결과물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6. 뒤처리
모든 칠 작업이 마무리 되었다면, 시공에 사용한 자재들을 뒤 처리해야 할 텐데요.
만약 사용한 도구를 재 사용할 계획이라면,
수용성 제품을 사용한 도구는 물로 세척을 하고 요제형 제품을 사용한 도구는 신나로 세척 후 말려두길 바랍니다.
그리고 남은 페인트는 화학제품이기 때문에 액상상태로 절.대.로 하수구에 그냥 흘려버리면 안됩니다.
가장 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남은 페인트를 환기가 잘 통하는곳에 용기채로 두고
약 2~3일 정도 지나 건조된 페인트를 잘 싸서 쓰레기 봉투에 버리면 됩니다.
만약 건조되지 않은 액상 상태의 제품 그대로 처분 하고자 한다면 주변의 폐수처리업체에 맡기거나
페인트가게에 문의해 비용을 주고 맡기는 방법이 가장 손쉬운 방법입니다.
지금까지 페인트를 혼자서 시공할 수 있는 칠 노하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내용이 길어 어려워 보이지만 사실 천천히 읽어보면 크게 어려운 부분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알려드린대로 준비를 해본다면 충분한 재미를 느낄 수 있을테니 너무 미리부터 부담 갖지 마시고 시도해 보는건 어떨까요?
지금까지 알아두면 쓸모 있는 셀프 칠 노하우였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원하는 색상을 골라 칠하기만 하면 내가 원하는 모습으로 쉽게 바꿀 수 있는 페인트.
그치만 쉽게 선택하기 어려운건 복잡한 화학성분과 용도도 다르고 그만큼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일 겁니다.
제품의 성분별, 용도별, 시공순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는 복잡한 종류의 페인트를 잘~ 고르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1. 성상에 따른 페인트 구분
첫째, 용제형 제품 유성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흔히들 유성페인트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용제형 제품입니다.
기름 油를 써서 석유계 성분의 도료로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물론 석유계 성분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이 더 많지요.
정확한 표현으로는 용제형 도료로서 휘발성이 있는 용제(신나)를 희석제로 사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용제형 페인트 제품을 구매했다면 신나도 함께 준비해야 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대부분의 용제형 제품은 대부분 수지와 고형분등 도막의 물질 대부분을 구성하는 주제와
재료간 화학반응을 일으켜 도막이 굳어지게 도와주는 경화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용제형 제품은 제품의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반면에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을 맞춰 사용해야 할 정도로 예민하고,
인화성 물질인 신너 등을 섞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을 다루기도 까다로우며 위험하고,
냄새도 많이 나서 환경적으로도 유해하다는 단점이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 대부분의기 용제형 이렇게 주제 & 경화제로 구성되어 "두가지 재료를 섞어 쓴다"는 의미로
2액형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모든 용제형 제품이 2액형인 것은 아니며,
요즘에는 사용이 간편한 1액형 용제형제품도 출시되는 추세입니다.
용제형 제품의 "희석제가 휘발성 용제(솔벤트)"라는 것을 기억해 주세요
둘째, 수용성 제품 수성
수용성 제품은 흔히 수성 페인트로, 물의 성질을 갖는다 하여 수용성이라 부릅니다. 희석제 역시 정수(물)을 사용합니다. 수용성 제품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첨가제 없이 일체형 제품을 그대로 칠하기 때문에 1액형 제품이라고도 부릅니다.
크게 4가지로 분류되는
성분에 따른 구분
페인트칠이 오래 유지되고 기능의 역할을 다하려면 목적에 맞는 적합한 성분의 페인트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페인트의 종류는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절대적인 것은 아니나 통상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대부분의 기능성 제품들이 아래의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페인트 제품 구입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상도, 중도, 하도
도장 순서에 따른 구분
하도재
하도재를 칠하는 주 목적은 바탕면과 페인트의 접착 성능을 높이기 위해 칠합니다. 가장 재료 가까이 칠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방청(녹 방지) 기능이나 방수 기능 등이 포함되어 있는 제품을 칠하기도 합니다. 하도재 작업 없이 바로 칠할 경우 도막의 내구성이 약해져 오래 지나지 않아 페인트칠이 벗겨질 수 있습니다. 특히 작업할 곳이 실외라면 반드시 하도재를 칠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중도재
중도재는 말 그대로 하도재와 상도재 중간에 칠하는 재료를 말합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제품으로는 우레탄 방수제의 중간 탄성재나 단열 도료의 중간 단열재 등이 있습니다. 두께감을 요구하는 기능성 도장에서 1mm이상 두껍게 칠할 때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두께를 담당하기 때문에 모든 칠에서 적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사용목적을 잘 확인하여 불필요한 구매를 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상도재
상도재는 최종 마감으로 칠하는 페인트로 영어로는 Top코팅이라고 합니다. 가장 마지막에 얇게 코팅되어 하도재와 중도재의 제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됩니다. 상도재는 최종 마감재이기 때문에 색상이 다양하며, 외부 표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열과 기후에 강하며 내구성도 가장 높은 재료입니다. 방수, 발수, 방청 등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어 제품의 용량 대비 가격이 다소 높은 편이며, 최근에는 중도재와 상도재의 기능을 혼합하여 나온 제품들이 많아지고 있어 별도의 구분 없이 상도재 하나로만 칠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건물관리에 대해 조금이라도 아는 분들이라면, 모든 건물의 지붕에는 방수처리가 되어있다는 것을 아십니다.
방수란 말 그대로 “물을 방어한다” 즉, 물이 흡수되지 않도록 차단한다는 의미지요.
사실 물을 차단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큰 의미에서 기능의 차이로 보자면
물의 침투를 ‘완전히 차단한다’와 ‘막아낸다’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를 ‘방수’와 ‘발수’라고 합니다.
특히 “발수”기능은 건축 뿐만이 아니라 의류, 소재부분 등 우리 생활의 다방면에서 활용되기 때문에,
방수와 발수의 기능적 차이를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두 단어의 사전적 의미는 따로 있지만 단지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자면,
“방수”란 물이 방어막을 완전히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말하며,
"발수”는 물체의 표면에서 물이 통과하지 않도록 물을 튕겨내는 기능을 말합니다.
1. 방수
그렇다면 페인트로 할 수 있는 방수와 발수의 방법 기능적 차이 그리고 적용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보통 건물의 경우 물이 흘러내리지 못하고 고여, 틈새 사이로 스며들면서 건물 내부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는 곳에
방수처리를 하게 됩니다. 가장 일반적인 부위가 지붕이나 옥상, 등이 되지요.
옥상에 방수처리를 할 때 통상적으로 많이 적용하는 공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방수 층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탄성과 내구성이 좋아야 하기 때문에,
도막의 두께는 보통 2~3mm정도로 두껍게 칠합니다.
보통 현장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법은 도막방수공법입니다.
그냥 액상으로 된 페인트를 칠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일반인들도 손쉽게 많이 하시죠.
방수용 페인트로 주로 사용되는 소재는 보통 우레탄이나 폴리우레아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도막방수재의 구성은 보통 아래와 같이 세 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실질적인 방수 기능을 하는 재료는 중도재로 가장 두껍게 칠하게 됩니다.
특히나 단열기능을 가지고 있는 페인트의 경우에는
가장 두꺼운 이 중도 층에 중공안료와 같은 단열소재를 섞어서 열전도율을 낮춰주는 기능까지 부여하는 것이죠.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상도재는 중도재를 보호하는 코팅제의 역할을 하며,
하도재는 페인트와 도장 면이 잘 부착되도록 하는 접착제와 같은 성능을 가진 재료라고
이해하시면 더 쉬우실 겁니다.
2. 발수
발수는 물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튕겨낸다는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되는데요.
흔히 옷감처럼 물이 흡수되기 쉬운 소재의 표면에 코팅처리를 하여
물을 흡수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도 발수기능으로 볼 수 있습니다.
페인트에서도 물방울이 맺혀 있는 듯한 표면을 유지하는 제품이 발수기능이 있는 제품들입니다.
보통 발수 코팅 소재의 성분은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것도 있지만,
페인트의 소재면에서 볼 때 방수와 발수재의 소재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발수 코팅재가 두꺼워질수록 방수재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발수 기능은 큰 의미에서 방수의 범주 안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지요.
그래서 많은 분들께서 혼동하시는 것 중 하나가, 건물이 오래되면 방수를 무조건 해야한다고 생각하시는데요.
당장에 물새는 곳 없다면 방수기능을 담당하는 중도재가 이상이 없는 것이기 때문에
굳이 값비싼 방수 공사를 할 필요 없습니다.
방수 시공은 도막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재료적 손실과 시공비용이 상승할 수 밖에 없지만,
발수코팅은 현장 상황에 따라 상도만 1회 칠하거나 또는 하도와 상도를 결합하여 2회로 마무리 되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지요.
그래서 발수기능이 있는 상도코팅 정도만 하시더라도 기존의 방수코트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충분하시며
비용적으로도 큰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는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어드그린코트는 도막의 두께가 0.1mm정도 수준으로
열변화가 없기 때문에 오랜기간동안 발수기능을 유지하는 국내최고의 열 차단 페인트입니다.
도막두께가 얇기 때문에 모든 건물의 벽면이나 지붕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방수기능이 정상 발휘되고 있는 지붕이나 옥상에는 별도의 방수처리 없이
어드그린코트 상도재를 칠하는 것만으로도 기존 방수도막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열을 차단하여
방수층이 가진 고유의 기능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방수 발수의 차이에 대해 설명을 드렸는데요.
충분히 이해하셨기를 바라며, 현장 조건에 맞춰 방수 시공여부를 적절하게 판단하시어
불합리한 손실이 없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알면 쓸모있는 방수와 발수 이야기 였습니다.
어드그린코트는 알맞은 하도재를 선택해 하도재 1회 시공 후 어드그린코트 상도 2회만 시공해주면 되므로, 시공이 간편합니다.
프리미엄 차열페인트, 어드그린코트!
상호 (주)두온에너지원 대표 유태완
주소 서울시 동대문구 장한로 18 한국콘크리트 연합회관 405호 사업자등록번호 204-86-47877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15-서울동대문-0519호
운영시간 10:00 - 17:00
고객센터 02-3407-1800 Fax 02-2212-0728
E-mail s1212@duon.kr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유광열(jajadoo@duon.kr)
Copyright ⓒ 2020 Adgreencoat All rights reserved.
프리미엄 차열페인트, 두온에너지원 어드그린코트!
상호 (주)두온에너지원 대표 유태완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18, 405호 사업자등록번호 204-86-21353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15-서울동대문-0519호
고객센터 02-3407-1800(운영시간: 09:00~18:00) Fax 02-2212-0728 E-mail jajadoo@duon.kr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유광열(jajadoo@duon.kr) 호스팅 제공자 (주)아임웹
Copyright ⓒ 2021 Adgreencoat All rights reserved.